조두순 (179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두순은 조선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대교를 거쳐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한 인물이다. 1835년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862년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민란 발생 시 이정청 총재관으로 삼정 개혁에 힘썼다. 철종 사후 고종 추대를 적극 주장하여 조대비와 흥선대원군의 신임을 얻었으며, 영의정으로 《대전회통》 편찬, 삼군부 부활, 경복궁 영건도감 도제조 등을 역임했다. 흥선대원군의 명에 따라 천주교 탄압과 경복궁 중건에 앞장섰고, 시호는 문헌이다. 저서로는 《심암집》이 있다.
조두순은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대교, 대사성, 부제학, 이조참의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835년에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예조참판, 이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한성부 판윤 등을 역임했다.
2. 생애
1849년 《헌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이후 공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에 올랐다. 1862년에는 삼정의 문란으로 백성들이 고통받자 이정청 총재관을 맡아 삼정 개혁에 힘썼다.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이명복(고종)을 왕위에 추대하여 조대비와 흥선대원군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영의정에 올라 《대전회통》 편찬, 삼군부 부활, 경복궁 중건 등 흥선대원군의 주요 정책을 추진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2. 1. 관직 생활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대교를 거쳐 대사성, 부제학,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1835년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왔으며, 그 후 예조참판, 이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한성부 판윤 등을 지냈다.
1849년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헌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그 후 공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에까지 올랐다.
1862년 삼정의 문란으로 백성들에 대한 가혹한 착취가 계속되어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이정청을 설치하여 총재관이 되어 삼정의 개혁에 전력하였다.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이명복(후의 고종)의 추대를 적극 주장하여 조대비와 흥선대원군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었다.
1864년 《철종실록》의 편찬 총재관이 되었으며 이듬해 영의정이 되어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삼군부를 부활시키고 경복궁 영건도감 도제조를 지냈다. 흥선대원군의 명을 받아 천주교 탄압과 경복궁 중건에 앞장섰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2. 2. 삼정 개혁 노력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대교, 대사성, 부제학, 이조참의를 거쳤다. 1862년 삼정의 문란으로 백성들에 대한 가혹한 착취가 계속되어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이정청을 설치하여 총재관이 되어 삼정 개혁에 전력하였다.
2. 3. 고종 즉위와 흥선대원군과의 관계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이명복(후의 고종)의 추대를 적극 주장하여 조대비와 흥선대원군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었다. 1864년 《철종실록》 편찬 총재관이 되었으며, 이듬해 영의정이 되어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삼군부를 부활시키고 경복궁 영건도감 도제조를 지냈다. 흥선대원군의 명을 받아 천주교 탄압과 경복궁 중건에 앞장섰다.
2. 4. 영의정 시절과 주요 정책
1864년 《철종실록》 편찬 총재관을 맡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라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삼군부를 부활시키고 경복궁 영건도감 도제조를 지냈으며,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천주교 탄압과 경복궁 중건에 앞장섰다.
3. 저서
4. 가족 관계
조두순은 조태채를 현조부로 하는 양반 가문 출신이다. 증조부는 조영극, 조부는 조종철, 아버지는 조진익이다. 어머니는 반남 박씨로 박종악의 딸이다. 숙부로는 조진정, 조진민, 조진강이 있었고, 숙조부로는 조인철, 조헌철, 조의철, 조우철, 숙고조부로는 조관빈, 조겸빈이 있었다.
4. 1. 상세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비고 |
---|---|---|---|---|
현조부 | 조태채 | 1660년 | 1722년 | |
현조모 | 청송 심씨 | |||
고조부 | 조정빈(趙鼎彬) | 1681년 | ? | |
증조부 | 조영극(趙榮克) | |||
조부 | 조종철(趙宗喆) | 1737년 | ? | |
아버지 | 조진익(趙鎭翼) | 1762년 | ? | |
어머니 | 반남 박씨 | 박종악의 딸 | ||
동생 | 조태순(趙台淳) | 1798년 | ? | 조진우(趙鎭愚)에게 입양 |
동생 | 조규순(趙奎淳) | 1799년 | ? | |
양자 | 조병섭(趙秉燮) | 생부는 조규순 | ||
양자 | 조병집(趙秉集) | 생부는 조태순 | ||
손자 | 조동희(趙同熙) | 생부는 조병섭 | ||
숙부 | 조진정(趙鎭靖) | |||
숙부 | 조진민(趙鎭敏) | |||
숙부 | 조진강(趙鎭剛) | 1775년 | ? | 숙조부 조의철(趙宜喆)에게 입양 |
숙조부 | 조인철(趙寅喆) | |||
숙조부 | 조헌철(趙憲喆) | 1742년 | ? | |
숙조부 | 조의철(趙宜喆) | 1745년 | ? | |
숙조부 | 조우철(趙宇喆) | |||
숙고조부 | 조관빈 | 1691년 | 1757년 | |
숙고조부 | 조겸빈(趙謙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